일자리정보16 직업상담의 문제유형 직업상담의 문제 유형의 알아보겠습니다. 내담자의 직업선택 문제는 의사결정상태에 따른 내담자분류와 직업선택에서 내담자의 우유부단 및 결정성 문제의 일반적인 이유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내담자의 직업선택 문제는 의사결정 상태에 따른 내담자를 분류하는 경우와 직업선택에서 내담자의 우유부단 및 결정성 문제의 일반적인 이유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결정 상태에 따른 내담자 분류는 의사결정자를 기준으로 확정적 결정형, 수행적 결정형, 회피적 결정형이 있습니다. 확정적 결정형은 스스로 명확한 선택을 할 수 있고, 다른 가능한 선택대안과 비교하여 자신의 선택이 적절한지를 점검하려는 사람이다. 수행적 결정형은 어떠한 선택을 할 수는 있지만, 그 선택을 실행하는데 잇어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다. 회피적 결정형은 .. 2024. 11. 10. 집단직업상담가의 자질 집단직업상담가의 자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자기수용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으로서, 자신의 내면에 대한 깊이 있는 반성과 성찰을 전제로 한다. 사소한 실수에도 낙심하지 않으며, 집단성원들에게 자신의 약한 부분과 한계를 기꺼이 드러낸다. 개인적 소양 또는 개방적 태도는 어떠한 새로운 경험이나 자신의 것과 다른 유형의 삶의 가치를 기꺼이 수용하는 것이다. 개방적 소양을 가진 집단상담자는 쉽게 위협을 느끼거나 불안해하지 않으며,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이를 솔직하게 다둘 수 있다. 공감적 이해 능력은 상대방의 감정을 경험하고 나누는 것이다. 이는 동정이나 동일시와는 다른 것이며, 집단상담가가 집단성원들의 감정을 스스로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자기 자신을 .. 2024. 11. 10. 상담의 구조화와 라포(Rapport) 형성 상담의 구조화와 라포(Rapport) 형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담의 구조화의 의의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폭표를 성취하기 위해 상담의 기본성격, 상담자 및 내담자의 역할한계, 바람직한 태도 등을 설명하고 인식시켜 주는 작업이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에 대한 기본적인 기대를 맞추어가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내담자는 상담에 대한 모호함과 불안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담의 구조화가 필요한 이유는 상담이 계약관계로서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지니기 때문이다. 구조화에는 상담이 얼마동안 진행되는지, 얼마나 자주 만나는 것인지, 상담시간에는 무엇을 하는 것인지, 비밀보장은 어떻게 해 주는지 등이 포함된다. 특히 내담자가 검사도루에 대해 비현실적 기대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담자는 검사 사용 목적에 대해 명.. 2024. 11. 9. 직업상담의 개념 직업상담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업상담의 기초 직업상담의 이해를 위한 기본용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진로는 한 개인이 생애 동안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고 거쳐가는 모든 체험들을 의미한다. 일생을 통해 행해지는 모든 행동을 포함한 보편적 생활 형태로, 좁은 의미에서는 '직업'을 의미하지만 직업이라는 용오보다 폭넓은 개념이며, 생애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직업은 일반적으로 보수를 받는 것을 전제로 한 일을 의미한다. 주어진 시범에서 이우러지는 특수한 이릉 지칭하므로 직업생활 준비에서부터 은퇴까지를 말한다. 진로상담은 인생전반에 걸친 진로선택과 연관된 모든 상담활동을 의미하며, 그 대상은 어링아이부터 은퇴한 70세 이상의 노인까지 포함한다. 개인의 진로발달을 촉진시키거나 진로계획, 진로 및 직업.. 2024. 11. 8. 이전 1 2 3 다음